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6

뫼와 갓

조회 수 716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뫼와 갓

들온말을 즐겨 쓰는 이들은 토박이말에는 이름씨 낱말이 모자라고, 한자말은 짤막하고 또렷한데 토박이말은 늘어지고 너절하다고 한다. 그런 소리가 얼마나 믿을 수 없는지를 보이는 말 하나를 들어보자.

‘산’이 그런 보기다. 얼마나 많이 쓰는 말이며 얼마나 짤막하고 또렷한가! 이것을 끌어 쓰기까지는 토박이 이름씨가 없었고, 이것이 들어와 우리 이름씨 낱말이 늘었을까? 사실은 거꾸로다. ‘산’ 하나가 토박이말 셋을 잡아먹었고, 그렇게 먹힌 토박이말은 모두 ‘산’처럼 짤막하고 또렷하였다. ‘뫼’와 ‘갓’과 ‘재’가 모두 ‘산’한테 자리를 내준 말들이다.

‘갓’은 집을 짓거나 연장을 만들거나 보를 막을 적에 쓰려고 일부러 가꾸는 ‘뫼’다. ‘갓’은 나무를 써야 할 때가 아니면 아무도 손을 못 대도록 오가면서 늘 지킨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 일부러 ‘갓지기’를 세워 지키도록 한다. 도회 사람들은 ‘갓’을 자주 보지 못하니까 머리에 쓰는 ‘갓’과 헷갈려서 ‘묏갓’이라 하다가 ‘멧갓’으로 사전에 올랐다.

‘재’는 마을 뒤를 둘러 감싸는 ‘뫼’다. 마을을 둘러 감싸고 있기에 오르내리고 넘나들며 길도 내고 밭도 만들어 삶터로 삼는다. 난리라도 나면 사람들은 모두 ‘잿마루’로 올라 세상을 내려다보며 마을을 지키고 살 길을 찾는다. ‘뫼’는 ‘갓’과 ‘재’를 싸잡고 그보다 높고 커다란 것까지 뜻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2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71
2072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72
2071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473
2070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0
2069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10
2068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27
2067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075
2066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28
2065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037
2064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59
206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1
2062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662
2061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4
2060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64
2059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01
2058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56
2057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32
2056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77
2055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62
2054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32
2053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269
2052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5
2051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