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6

뫼와 갓

조회 수 729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뫼와 갓

들온말을 즐겨 쓰는 이들은 토박이말에는 이름씨 낱말이 모자라고, 한자말은 짤막하고 또렷한데 토박이말은 늘어지고 너절하다고 한다. 그런 소리가 얼마나 믿을 수 없는지를 보이는 말 하나를 들어보자.

‘산’이 그런 보기다. 얼마나 많이 쓰는 말이며 얼마나 짤막하고 또렷한가! 이것을 끌어 쓰기까지는 토박이 이름씨가 없었고, 이것이 들어와 우리 이름씨 낱말이 늘었을까? 사실은 거꾸로다. ‘산’ 하나가 토박이말 셋을 잡아먹었고, 그렇게 먹힌 토박이말은 모두 ‘산’처럼 짤막하고 또렷하였다. ‘뫼’와 ‘갓’과 ‘재’가 모두 ‘산’한테 자리를 내준 말들이다.

‘갓’은 집을 짓거나 연장을 만들거나 보를 막을 적에 쓰려고 일부러 가꾸는 ‘뫼’다. ‘갓’은 나무를 써야 할 때가 아니면 아무도 손을 못 대도록 오가면서 늘 지킨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 일부러 ‘갓지기’를 세워 지키도록 한다. 도회 사람들은 ‘갓’을 자주 보지 못하니까 머리에 쓰는 ‘갓’과 헷갈려서 ‘묏갓’이라 하다가 ‘멧갓’으로 사전에 올랐다.

‘재’는 마을 뒤를 둘러 감싸는 ‘뫼’다. 마을을 둘러 감싸고 있기에 오르내리고 넘나들며 길도 내고 밭도 만들어 삶터로 삼는다. 난리라도 나면 사람들은 모두 ‘잿마루’로 올라 세상을 내려다보며 마을을 지키고 살 길을 찾는다. ‘뫼’는 ‘갓’과 ‘재’를 싸잡고 그보다 높고 커다란 것까지 뜻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74
2974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276
2973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973
2972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7845
2971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79
297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24
296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415
2968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945
296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27
2966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820
2965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827
2964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69
2963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604
2962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40
2961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743
296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65
295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812
295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26
295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81
295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61
2955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628
2954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83
2953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0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