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31 16:55

억수

조회 수 675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억수


큰사전에서 ‘억수’를 찾아보면 ‘물을 퍼붓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로 풀이돼 있다. 이러한 뜻의 ‘억수’는 ‘비가 억수같이 내린다’, ‘비가 억수로 내리부었다’처럼 쓰인다. 우리말에는 이와 다른 뜻을 가진 ‘억수’가 있다.

“억수의 산목숨이 골짜기마다 그득그득 모두 제 몫을 하고 ….”(박경리 <토지>)
“저 고래 덕분에 오늘 고기가 억수겠어요. 어탐기를 좀 봐요!”(천금성 <허무의 바다>)
“동생들을 거느리고 산나물을 억수로 많이 해 온 적도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억수로 퍼마셨는데도 도무지 취하지가 않는다 그런 말입니다.”(이동하 <도시의 늪>)

여기서 ‘억수’는 ‘세차게 내리는 비’의 뜻이 아니라 ‘아주 많은 수나 양’, 또는 ‘아주 심한 정도’의 뜻으로 쓰였다.

이런 뜻의 ‘억수(로)’를 경상도 방언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억수의 산목숨’ 등에서 ‘억수’는 한자말 억수(億數)로 볼 수 있을 듯하다. 한자 ‘억’(億)은 ‘억대, 억겁, 억만’ 등에서처럼 ‘오랜, 많은’의 뜻이 있다. ‘세차게 내리는 비’를 가리키는 ‘억수’와 표기는 같지만 그 뜻이 다르므로, 별도의 올림말로 올리거나 아니면 동음이의어로 다룰 수도 있을 터이다.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낱말’을 동음이의어라 하는데, 사전에서는 ‘철자’가 같고, 그 뜻과 어원이 다른 낱말들에 한해 ‘강¹’, ‘강²’처럼 어깨번호를 붙여 구별하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98
»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754
2313 억수 風磬 2007.01.19 8747
2312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593
231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97
2310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37
2309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93
2308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21
2307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37
2306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86
2305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799
2304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82
2303 어미 ‘ㄹ걸’ 바람의종 2010.04.25 10690
2302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597
2301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47
2300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0
2299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390
2298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49
2297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681
229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386
2295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26
2294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183
2293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