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31 16:53

체로키 글자

조회 수 625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체로키 글자

올해는 한글날을 국경일로 기념하는 첫해다. 한글날은 세종 임금이 1446년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반포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훈민정음은 창제 원리가 과학적이며 글자 구성이 체계적이다. 그래서 배우기 쉽고 쓰기에 편리하다는 점이 자랑스럽다. 또한 만든 때와 만든 사람이 분명하게 알려진 세계에서 하나뿐인 글자라는 점도 자랑거리다.

미국 동남부에 흩어져 사는 토착민(인디언) 중에 체로키 겨레가 있다. 체로키 겨레는 체로키말을 쓰는 꽤 큰 부족이었으며, 유럽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다른 부족보다 세련되고 차원 높은 문화를 누렸다. 미국 스모키산 자락에 있는 그들의 겨레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에게 자기 겨레는 만든 때와 만든 사람이 분명한 고유글자를 가지고 있다고 자랑한다.

그들의 조상 세쿼이아라는 사람은 체로키말에는 86 음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하나씩 표현하는 음절글자를 만들어 글자생활을 하게 했다. 1820년 무렵이다. 그래서 그들은 체로키말로 된 책·신문·잡지를 발간했다.

그러나 체로키글자는 음소문자인 로마자 알파벳에 획을 더하거나, 고치거나, 뒤집어서 만든 음절문자다. 마치 일본이 한자를 조금씩 변형하여 음절문자인 가나를 만든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독창적으로 만든 글자로 볼 수는 없다. 결국 창제자와 창제 연도가 확실한 세계에서 유일한 글자는 한글뿐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05
2974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273
2973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964
2972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7840
2971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65
297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11
296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412
2968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937
296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27
2966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814
2965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822
2964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65
2963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604
2962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35
2961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740
296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65
295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800
295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25
295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78
295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60
2955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616
2954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74
2953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0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