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7 11:02

알바

조회 수 7445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바

‘알바’는 독일어 ‘아르바이트’(Arbeit)의 준말이다. 아르바이트란 말이 처음 들어왔을 때 ‘부업’으로 순화해 쓰자고 했다. 그런데 최근 ‘아르바이트’가 ‘부업’보다 세곱절이나 많이 쓰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가 ‘주업이 아닌 부업’의 의미가 아니라 ‘등록금이나 용돈을 벌고자 학생들이 틈을 내어 하는 일’의 뜻으로 대학가에서 빠르게 퍼져나간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상에서 ‘알바’는 이런 본디뜻과 다른 뜻으로도 쓰인다. 가상공간에서 ‘알바’는 ‘대가를 받고 인터넷상에서 여론몰이를 하는 사람’을 뜻한다.

인터넷에서는 ‘알바’처럼 여러 뜻으로 쓰이는 말들이 꽤 있다. ‘므흣하다’는 “너희가 사이좋게 지내는 걸 보니 므흣하구나”에서는 흐뭇하다는 뜻이지만 “밤이 되면 이 사이트에 므흣한 사진들이 종종 올라와요”에서는 야한 상상을 불러일으킨다는 뜻이다. ‘아?d?d하다’나 ‘즐’과 같은 말은 정반대 뜻으로도 쓰인다. 한 인터넷 사이트의 오타에서 출발했다는 ‘아?d?d하다’는 기분이 좋다는 말로도 쓰지만 ‘어이없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즐’은 ‘즐겁다’에서 출발해 ‘즐감·즐팅’ 등에서 긍정적 의미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즐!’ 하면 상대 의견에 동의할 수 없다거나 더 대화하기 싫으니 빠져 달라는 말이다. 이처럼 인터넷 새말들은 처음 뜻과 다르게 부정적인 쪽으로 의미가 변하고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과 비대면성 탓에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며 상대를 맘놓고 비난하는 풍조가 자리잡은 탓으로 보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69
2226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781
2225 마스카라 바람의종 2010.06.20 13832
2224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29
2223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15
2222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480
2221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2220 마탄의 사수 바람의종 2012.03.02 11226
2219 마호병 바람의종 2008.02.11 10315
221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20
2217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010
2216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96
2215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307
2214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158
2213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3
2212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068
2211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09
2210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373
2209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028
2208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15
2207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7
2206 바람의종 2008.08.08 5788
2205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5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