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7 11:02

알바

조회 수 7429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바

‘알바’는 독일어 ‘아르바이트’(Arbeit)의 준말이다. 아르바이트란 말이 처음 들어왔을 때 ‘부업’으로 순화해 쓰자고 했다. 그런데 최근 ‘아르바이트’가 ‘부업’보다 세곱절이나 많이 쓰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가 ‘주업이 아닌 부업’의 의미가 아니라 ‘등록금이나 용돈을 벌고자 학생들이 틈을 내어 하는 일’의 뜻으로 대학가에서 빠르게 퍼져나간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상에서 ‘알바’는 이런 본디뜻과 다른 뜻으로도 쓰인다. 가상공간에서 ‘알바’는 ‘대가를 받고 인터넷상에서 여론몰이를 하는 사람’을 뜻한다.

인터넷에서는 ‘알바’처럼 여러 뜻으로 쓰이는 말들이 꽤 있다. ‘므흣하다’는 “너희가 사이좋게 지내는 걸 보니 므흣하구나”에서는 흐뭇하다는 뜻이지만 “밤이 되면 이 사이트에 므흣한 사진들이 종종 올라와요”에서는 야한 상상을 불러일으킨다는 뜻이다. ‘아?d?d하다’나 ‘즐’과 같은 말은 정반대 뜻으로도 쓰인다. 한 인터넷 사이트의 오타에서 출발했다는 ‘아?d?d하다’는 기분이 좋다는 말로도 쓰지만 ‘어이없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즐’은 ‘즐겁다’에서 출발해 ‘즐감·즐팅’ 등에서 긍정적 의미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즐!’ 하면 상대 의견에 동의할 수 없다거나 더 대화하기 싫으니 빠져 달라는 말이다. 이처럼 인터넷 새말들은 처음 뜻과 다르게 부정적인 쪽으로 의미가 변하고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과 비대면성 탓에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며 상대를 맘놓고 비난하는 풍조가 자리잡은 탓으로 보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84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6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79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866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83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36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92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90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1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7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7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97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83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29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44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81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83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28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49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11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