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6 15:18

값과 삯

조회 수 596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값과 삯

‘값’은 남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내놓는 값어치다. 거꾸로,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주고 받아내는 값어치기도 하다. 값을 받고 팔거나 값을 치르고 사거나 하는 노릇이 잦아지면서 때와 곳을 마련해 놓고 사람들이 모여서 팔고 샀다. 그 때가 장날이고, 그 곳이 장터다. 닷새 만에 열리는 장날에는 팔려는 것을 내놓는 장수와 사려는 것을 찾는 손님들로 장터가 시끌벅적하다. 값을 올리려는 장수와 값을 낮추려는 손님이 흥정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내놓는 값의 말미가 ‘금’이다. 금을 미리 내놓는 노릇을 ‘금을 띄운다’ 하고, 그렇게 띄워 놓은 금이 ‘뜬금’이다. 뜬금이 있어야 흥정을 거쳐서 값을 매듭지어 거래를 하는데, 금도 띄우지 않고 거래를 매듭지으려 들면 ‘뜬금없는’ 짓이 된다.

‘삯’은 내 것으로 만들며 치르는 ‘값’과는 달리 남 것을 얼마간 빌려 쓰는 데 내놓는 값어치다. ‘찻삯’이나 ‘뱃삯’은 차나 배를 타는 데 치르는 값어치, ‘찻값’이나 ‘뱃값’은 차나 배를 사는 데 치르는 값어치다. 삯에서 종요로운 것은 ‘품삯’이다. ‘품’이란 사람이 지닌 힘과 슬기의 값어치고, 그것을 빌려 쓰고 내는 것이 ‘품삯’이다. 품은 빌려주고 삯을 받기도 하지만 되돌려 받는 ‘품앗이’가 본디 제격이었다. 가진 것이 없어서 품을 팔아 먹고사는 사람을 ‘품팔이’라 하는데, 품을 빌리지 않고 사려면 ‘품삯’이 아니라 ‘품값’을 치러야 한다. 요즘 세상은 거의 모든 사람이 품을 팔아야 살게 되어서 ‘품값’ 때문에 세상이 온통 시끄럽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57
92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654
91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67
90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598
89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14
88 존맛 風文 2023.06.28 1555
87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48
86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069
85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81
84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654
83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29
82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451
81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89
80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281
7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0
78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97
77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558
76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83
75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573
74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198
73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80
72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162
71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