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3 07:55

깍두기

조회 수 677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두기

가을철 밥상에 자주 올라오는 김치의 하나는, 깍둑 썬 무와 새파란 무청과 빨간 고추가 잘 어우러진 ‘깍두기’다. ‘깍두기’는 ‘콩나물국, 시래깃국’과 같이 국물과 잘 어울리는 음식이다.

남쪽에서는 고장에 따라 ‘깍두기, 똑닥지, 쪼가리지’ 등으로 말한다. ‘깍두기’는 ‘단단한 물건을 써는 모양’을 나타내는 시늉말 ‘깍둑’에 뒷가지 ‘-이’를 연결하여 만든 토박이말로서, 전국에서 널리 사용한다. 고장에 따라 ‘깍대기/깍떼기, 깍뒤기/깍뛰기, 깍디기, 깍따구, 깍뚝지’ 등으로 발음한다.

‘똑닥지’는 ‘단단한 물건을 가볍게 두드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시늉말 ‘똑닥’에 뒷가지 ‘-지’를 연결하여 만든 토박이말로, 주로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사용한다. 고장에 따라 ‘똑딱지, 똑데기/똑떼기’ 등으로 소리낸다. ‘쪼가리’는 ‘작은 조각’을, ‘조각’은 ‘작은 부분’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쪼가리지, 쪼각지, 쪼가리짐치, 쪼각짐치’라고도 쓴다. 주로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쓰는 말이다. 경남에서는 ‘뻬딱짐치’라고도 한다. 무를 조금 삐딱하게 썰어 담근다고 해서 붙인 이름인 것 같다. 북쪽에서는 고장에 따라 함남에서는 ‘간동지’, 평북에서는 ‘나박디’, 재중동포들은 ‘쪽다지, 구물짐치’ 등을 쓰고 있다.

‘뻐꾸기, 얼룩이’와 같이, 소리시늉말이나 짓시늉말을 이용하여 누구나 알기 쉬운 우리말을 만드는 과정을 ‘깍두기’가 잘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25
2996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811
299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07
2994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05
2993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93
2992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780
2991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78
2990 호나우두(Ronaldo)와 호날두(Ronaldo) 바람의종 2010.02.28 12763
2989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745
2988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43
2987 선례, 전례 바람의종 2010.07.17 12741
298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732
2985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9
2984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711
2983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705
2982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704
2981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689
298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88
2979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85
2978 대수롭다 風磬 2006.11.06 12683
2977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677
2976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676
2975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6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