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3 07:53

누다와 싸다

조회 수 784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누다와 싸다

며칠 들이께 스펀지라는 티브이 방송에서 재미나는 구경을 했다. 돼지 다섯 마리를 새 우리에 넣고 똥오줌과 잠자리를 가릴지 못 가릴지 다섯 사람이 한 마리씩 맡아서 밤중까지 지켜보았다. 한 놈이 구석에다 오줌을 누자 다른 놈들이 모두 똥이나 오줌이나 그 구석에만 가서 잘 가려 누었다. 그런데 지켜보는 사람들은 돼지가 오줌이나 똥을 눌 때마다 한결같이 ‘쌌습니다!’ ‘쌌습니다!’ 했다. 박문희 선생이 유치원 아이들과 살면서 겪은 그대로였다.

“‘똥 오줌을 눈다’와 ‘똥 오줌을 싼다’를 가려 쓰지 않고 그냥 ‘싼다’로 써 버립니다. ‘똥 오줌을 눈다’는 말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변기에 눈 건지 바지에 싼 건지를 가려 쓰지 않으니 가려 듣지 못합니다. 이러니 생활이 이만 저만 불편한 게 아닙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분명히 ‘똥을 눈다. 똥을 싼다’는 말을 가려 써 왔습니다.”(박문희, ‘우리말 우리얼’ 46호)

‘누다’와 ‘싸다’는 다스림으로 가려진다. ‘누다’는 똥이든 오줌이든 스스로 잘 다스려서 내보내는 것이고, ‘싸다’는 스스로 다스리지 못하고 내보내는 것이다. 그것은 사람에게나 짐승에게나 마찬가지다. 사람이나 짐승이나 어려서 철이 들지 않은 적에는 ‘싸고’, 자라서 철이 들면 ‘눈다.’ 철이 든 뒤에도 몸에 탈이 나면 사람이나 짐승이나 스스로 다스려 ‘누’지 못하는 수가 생기고, 그러면 ‘싸’는 수밖에 없다. 한편, 짐승의 삶이 사람과 달라서 저들은 잘 다스려 ‘누’지만 사람의 눈에 ‘싸’는 것으로 보일 수는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73
2996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940
2995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808
299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89
2993 바람의종 2013.01.25 17939
2992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58
2991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105
2990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086
2989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694
2988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221
2987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377
2986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092
2985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225
2984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494
2983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303
2982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229
2981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6006
298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56
2979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827
2978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97
2977 달디달다, 다디달다 바람의종 2012.12.05 21513
2976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673
2975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2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