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3 07:53

누다와 싸다

조회 수 779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누다와 싸다

며칠 들이께 스펀지라는 티브이 방송에서 재미나는 구경을 했다. 돼지 다섯 마리를 새 우리에 넣고 똥오줌과 잠자리를 가릴지 못 가릴지 다섯 사람이 한 마리씩 맡아서 밤중까지 지켜보았다. 한 놈이 구석에다 오줌을 누자 다른 놈들이 모두 똥이나 오줌이나 그 구석에만 가서 잘 가려 누었다. 그런데 지켜보는 사람들은 돼지가 오줌이나 똥을 눌 때마다 한결같이 ‘쌌습니다!’ ‘쌌습니다!’ 했다. 박문희 선생이 유치원 아이들과 살면서 겪은 그대로였다.

“‘똥 오줌을 눈다’와 ‘똥 오줌을 싼다’를 가려 쓰지 않고 그냥 ‘싼다’로 써 버립니다. ‘똥 오줌을 눈다’는 말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변기에 눈 건지 바지에 싼 건지를 가려 쓰지 않으니 가려 듣지 못합니다. 이러니 생활이 이만 저만 불편한 게 아닙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분명히 ‘똥을 눈다. 똥을 싼다’는 말을 가려 써 왔습니다.”(박문희, ‘우리말 우리얼’ 46호)

‘누다’와 ‘싸다’는 다스림으로 가려진다. ‘누다’는 똥이든 오줌이든 스스로 잘 다스려서 내보내는 것이고, ‘싸다’는 스스로 다스리지 못하고 내보내는 것이다. 그것은 사람에게나 짐승에게나 마찬가지다. 사람이나 짐승이나 어려서 철이 들지 않은 적에는 ‘싸고’, 자라서 철이 들면 ‘눈다.’ 철이 든 뒤에도 몸에 탈이 나면 사람이나 짐승이나 스스로 다스려 ‘누’지 못하는 수가 생기고, 그러면 ‘싸’는 수밖에 없다. 한편, 짐승의 삶이 사람과 달라서 저들은 잘 다스려 ‘누’지만 사람의 눈에 ‘싸’는 것으로 보일 수는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77
2204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51
2203 러닝셔츠 바람의종 2010.01.09 7651
2202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60
2201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61
2200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64
2199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70
2198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671
2197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671
2196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72
2195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76
2194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678
2193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678
2192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79
2191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80
2190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82
2189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682
2188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83
2187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7
2186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8
2185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96
2184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7
2183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