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2 10:22

우리말 계통

조회 수 5862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계통

세계의 여러 언어들은 뿌리를 어디 두는지에 따라 몇 가지 말겨레(어족)로 나뉜다. 우리말은 어느 말겨레에 들며, 뿌리는 어디일까? 지난 한 세기 동안 우랄-알타이어족이다, 알타이어족이다 등 여러 주장이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자. “알타이어족이 있다면, 우리말은 알타이어족에 들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아직 충분히 증명되지 않았다.”

여기엔 세 가지 사실이 들어 있다. 먼저 ‘알타이어족이 있다면’이라는 전제다. 알타이어족에 드는 말무리(어파)로는 몽골어파, 튀르크어파, 만주-퉁구스어파 셋이 있지만, 이들을 한뿌리에서 갈라진 것이라고 보는 쪽과 이에 동의하지 않는 쪽이 팽팽하다. 그래서 이들을 묶어 알타이어족이란 말 대신 ‘알타이언어’라고도 일컫는다. 다음은 ‘알타이어족에 들 가능성이 높다’라는 표현이다. 우리말과 알타이언어들의 말소리와 문법을 견줘보면 비슷한 점이 꽤 많다. 그래서 알타이어족에 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뿌리임을 증명할 체계적인 비슷함이 잘 찾아지지가 않아 ‘과학적으로 아직 충분히 증명되지 않았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외국에서 출판된 여러 언어학책에서는 ‘한국어족’이라는 것을 따로 제시하고 거기에 우리말을 넣는다.

따라서 이를 과학적으로 분명히 밝히는 일은 우리 학계가 풀어야 할 큰 과제다. 폭넓고 깊은 현지 조사를 통해 우리말과 알타이언어의 특성을 더욱 정밀하게 비교해야 할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90
2930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40
2929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7
2928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70
2927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71
2926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73
2925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75
292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77
2923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90
2922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91
2921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92
2920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95
2919 바람의종 2008.08.08 5798
2918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798
2917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8
2916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805
2915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24
2914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27
2913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37
2912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40
2911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43
2910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57
»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