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2 10:20

주머니차

조회 수 746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머니차

신문을 읽다가 ‘뽕잎 주머니차’라는 표현에 눈길이 갔다. ‘주머니차’라는 말을 처음 쓴다는 것을 의식해서인지 ‘주머니차’(tea bag)와 같이 영어 표현을 친절하게 밝혀 주었다. 순우리말 표현을 보고 반가워하다가 ‘티백’을 그대로 번역하면 ‘차주머니’인데 왜 앞뒤를 바꿔 ‘주머니차’라고 했는지 궁금했다.

생각해 보니 ‘차주머니’는 ‘티백’보다 의미 영역이 넓다. “차주머니를 만들어 장롱 속에 매달아 놓으면 냄새 제거와 방충 효과를 함께 볼 수 있다”, “차 도구에는 차주머니, 다기 바구니, 수저 등이 있다” 등에 나오는 ‘차주머니’가 종이나 천으로 만들어 차를 넣어 두는 주머니이기는 하지만 모든 ‘차주머니’에 ‘티백’처럼 1인분씩 차를 나누어 넣는 것은 아니다. ‘주머니차’라면 ‘차주머니’와 구분해서 ‘1인분의 차를 넣은 주머니’란 뜻으로 쓸만하겠다. ‘티백’이라는 외래어보다는 이왕이면 쉬운 우리말 ‘주머니차’를 살려 쓰는 것도 좋겠다.

물건이나 개념을 새로 들여올 때 말도 함께 들어온다. 그래서 외래어가 하나 늘어나기도 하고 그에 맞는 우리말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베이스볼’을 야구로, ‘바스켓볼’을 농구로 바꾸듯 풀밭에서 친다는 의미를 살려 골프(golf)를 ‘초구’(草球)로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다가 “타자가 초구(初球)를 쳤습니다”처럼 쓰이는 ‘초구’와 겹쳐 실현되지 못했다는 얘기가 있다. 억지스럽지 않고 원래 쓰던 다른 말과도 겹치지 않는 쉬운 우리말 표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27
2908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288
2907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426
290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59
2905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37
2904 비위맞추다 바람의종 2008.01.14 17786
2903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887
2902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654
2901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073
290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3
2899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443
2898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736
2897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51
289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67
2895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82
2894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04
2893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654
2892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581
2891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44
2890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41
2889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84
2888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588
2887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