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2 10:20

주머니차

조회 수 738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머니차

신문을 읽다가 ‘뽕잎 주머니차’라는 표현에 눈길이 갔다. ‘주머니차’라는 말을 처음 쓴다는 것을 의식해서인지 ‘주머니차’(tea bag)와 같이 영어 표현을 친절하게 밝혀 주었다. 순우리말 표현을 보고 반가워하다가 ‘티백’을 그대로 번역하면 ‘차주머니’인데 왜 앞뒤를 바꿔 ‘주머니차’라고 했는지 궁금했다.

생각해 보니 ‘차주머니’는 ‘티백’보다 의미 영역이 넓다. “차주머니를 만들어 장롱 속에 매달아 놓으면 냄새 제거와 방충 효과를 함께 볼 수 있다”, “차 도구에는 차주머니, 다기 바구니, 수저 등이 있다” 등에 나오는 ‘차주머니’가 종이나 천으로 만들어 차를 넣어 두는 주머니이기는 하지만 모든 ‘차주머니’에 ‘티백’처럼 1인분씩 차를 나누어 넣는 것은 아니다. ‘주머니차’라면 ‘차주머니’와 구분해서 ‘1인분의 차를 넣은 주머니’란 뜻으로 쓸만하겠다. ‘티백’이라는 외래어보다는 이왕이면 쉬운 우리말 ‘주머니차’를 살려 쓰는 것도 좋겠다.

물건이나 개념을 새로 들여올 때 말도 함께 들어온다. 그래서 외래어가 하나 늘어나기도 하고 그에 맞는 우리말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베이스볼’을 야구로, ‘바스켓볼’을 농구로 바꾸듯 풀밭에서 친다는 의미를 살려 골프(golf)를 ‘초구’(草球)로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다가 “타자가 초구(初球)를 쳤습니다”처럼 쓰이는 ‘초구’와 겹쳐 실현되지 못했다는 얘기가 있다. 억지스럽지 않고 원래 쓰던 다른 말과도 겹치지 않는 쉬운 우리말 표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7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00
2908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804
2907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08
290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11
2905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15
2904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17
2903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25
2902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31
290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63
2900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66
2899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75
2898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82
2897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891
2896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892
2895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897
2894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02
2893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02
289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03
2891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08
2890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10
2889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3
2888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16
2887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