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1 10:51

미꾸라지

조회 수 737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꾸라지

추어탕이 생각나는 철이다. 미꾸라지와 함께 무청·호박잎·고추를 넣고 끓인 뒤 제핏가루(산초-)를 살짝 쳐 먹으면 구수하고 향긋한 맛이 나는 국이 바로 추어탕이다. 추어탕의 주인공인 ‘미꾸라지’를 남쪽에서는 ‘미꾸리·미꾸라지·웅구락지·용주래기’로 일컫는 등 쓰는 말이 다양하다.

‘미꾸리’는 16세기부터 19세까지 문헌에 나오는 낱말이다. 역사적으로 용언 ‘믯글’(미끌-)에 뒷가지 ‘-이’가 연결되어 ‘믯글이>밋구리’로 쓰면서, 남쪽의 여러 고장에서 ‘미꾸리·미꼬리·밀꾸리’로 소리내 쓴다. 20세기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꾸라지’는 ‘믯글’에 뒷가지 ‘-아지’가 합친 것으로, 방언에서는 주로 ‘미꾸라지’와 ‘미꼬라지’로 발음하는데, 다른 발음으로는 ‘미꾸락지·미꾸람지·미꾸래기·미꾸래미·미꾸래이·미꾸랭이’ 등 아주 다양하다.

전남에서 사용하는 ‘옹구락지·웅구락지’는 ‘우글우글, 우글거리다’에서 볼 수 있는 시늉말 ‘우글’을 뜻하는 ‘옹굴’에 뒷가지 ‘-악지’가 결합하여 새로운 꼴이 생긴 것이다. 강원도에서는 ‘용고기·용곡지·용주래기’를 쓰는데, 이는 용처럼 생겼다고 해서 만든 이름이다.
함경도에서는 ‘새처네·소천어·종개미·찍찍개’ 등을, 평안도에서는 ‘말배꼽·맹가니·장구래기·증금다리·징구마리’ 등으로 쓴다.

‘미꾸라지’라는 말을 보면, 역사적으로 오래된 형태가 고장말에 여전히 많이 남아 있고, 그 고장의 정서에 맞게 새롭게 만든 말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65
2028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57
2027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595
2026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80
2025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28
2024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8995
2023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19
2022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929
2021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667
2020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80
2019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06
2018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215
2017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54
2016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882
2015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53
2014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06
2013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548
2012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6
2011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6
2010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34
2009 순직 風文 2022.02.01 1279
2008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050
2007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