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0 05:02

개구지다

조회 수 877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구지다

심하게 장난을 하는 아이를 일컬어 ‘장난꾸러기’ 또는 ‘개구쟁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난꾸러기’나 ‘개구쟁이’가 하는 행동을 두고 ‘짓궂다’란 표현을 쓴다. 전라남도에서는 ‘제양시롭다’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짓궂다’는 말은 없고 ‘장난궂다’라고 한다. ‘짓궂다’나 ‘장난궂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면서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이 있다.

“씨름이며 닭싸움이며를 하느라 한참 동안 개구지게 놀고 난 아이들이 비녀봉으로 칡이나 캐러 갈까 하고 둑을 내려설라치면 ….”(이서하 〈서점 앞에서〉)
“아이보다 천진난만하고 개구진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던 ○○○씨가 또 한편의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도전한다.”(〈씨네21〉)
“그러곤 개구진 미소를 짓다가 인찬의 굳은 표정을 본다.”(최진원 외 〈해바라기 5회〉)

‘개구지다’에서 ‘개구’는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어근’이다. ‘개구쟁이’에서의 ‘개구’와 같은 뜻으로, ‘장난이 심하고 짓궂음’의 뜻을 나타낸다. 뒤에 붙은 ‘지다’는 ‘값지다’, ‘멋지다’의 ‘지다’처럼 ‘그런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면서 앞에 오는 어근이나 명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뒷가지(접미사)다. 따라서 ‘개구지다’는 ‘장난이 심하고 짓궂은 성질(경향)이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러한 뜻의 ‘개구’가 포함된 북한말로 ‘개구장마누라’가 있는데, ‘입이 걸고 행실이 못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32
3018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71
3017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68
3016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743
3015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689
3014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237
301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39
3012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68
3011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60
301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54
30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34
300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78
3007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752
3006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51
300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87
30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81
3003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45
3002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58
300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03
3000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4
299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73
299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292
2997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