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0 05:02

개구지다

조회 수 877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구지다

심하게 장난을 하는 아이를 일컬어 ‘장난꾸러기’ 또는 ‘개구쟁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난꾸러기’나 ‘개구쟁이’가 하는 행동을 두고 ‘짓궂다’란 표현을 쓴다. 전라남도에서는 ‘제양시롭다’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짓궂다’는 말은 없고 ‘장난궂다’라고 한다. ‘짓궂다’나 ‘장난궂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면서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이 있다.

“씨름이며 닭싸움이며를 하느라 한참 동안 개구지게 놀고 난 아이들이 비녀봉으로 칡이나 캐러 갈까 하고 둑을 내려설라치면 ….”(이서하 〈서점 앞에서〉)
“아이보다 천진난만하고 개구진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던 ○○○씨가 또 한편의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도전한다.”(〈씨네21〉)
“그러곤 개구진 미소를 짓다가 인찬의 굳은 표정을 본다.”(최진원 외 〈해바라기 5회〉)

‘개구지다’에서 ‘개구’는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어근’이다. ‘개구쟁이’에서의 ‘개구’와 같은 뜻으로, ‘장난이 심하고 짓궂음’의 뜻을 나타낸다. 뒤에 붙은 ‘지다’는 ‘값지다’, ‘멋지다’의 ‘지다’처럼 ‘그런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면서 앞에 오는 어근이나 명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뒷가지(접미사)다. 따라서 ‘개구지다’는 ‘장난이 심하고 짓궂은 성질(경향)이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러한 뜻의 ‘개구’가 포함된 북한말로 ‘개구장마누라’가 있는데, ‘입이 걸고 행실이 못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14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353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409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60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60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316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83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19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348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58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56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10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77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93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937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93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288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61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49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915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96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35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9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