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38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지난주에 이어 사라져가는 자기 말을 지키는 젊은이를 소개한다. 같은 또래의 젊은이와는 사뭇 다르게 지극한 모어 사랑이 만나는 이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스쥔광은 나이 스물여덟인 만주족 젊은이다. 잘 알다시피 중국 헤이룽장성 싼자쓰촌에 사는 스물이 채 안 되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서 만주말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너무나도 안타까이 여겨 만주말을 따로 배운 청년이 바로 스쥔광이다. 젊은세대에서 유일하게 만주말을 아는 사람이다.

이런 현실이 그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그래서 그는 자기가 배운 만주말을 초등학교 어린이를 비롯하여, 마을 젊은이들에게 가르치기를 바란다. 교육을 통해 만주말이 오래 남아 쓰이기를 간절히 바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정은 어렵다. 예산이 없어 학교 교육은 엄두도 못 낸다. 그리고 다른 젊은이들의 호응도 없다. 중국말로 의사소통이 다 되는 터에 따로 만주말에 관심을 둘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스쥔광은 의미심장하게 말했다. “만주말이라는 큰 풍선이 있었습니다. 묶었던 끈이 풀리자 바람이 스르르 빠져 나왔습니다. 이제는 공기가 거의 남지 않은, 완전히 쭈그러진 풍선이 되고 말았습니다. 다시 바람을 넣어 주면 그 풍선이 둥글둥글 커질 텐데. 그러나 아무도 바람을 불어넣지 않습니다. 저 혼자라도 힘겹게 바람을 불어넣겠습니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는 다시 커지겠지요. 저는 그렇게 믿습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88
3392 매무시 風磬 2006.11.26 7927
3391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19
3390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147
3389 무꾸리 風磬 2006.11.26 8032
3388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362
3387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522
3386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569
3385 (밤)참 風磬 2006.11.30 6201
3384 벽창호 風磬 2006.11.30 6060
3383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7031
3382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182
3381 부럼 風磬 2006.12.20 7143
338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452
3379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564
3378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564
3377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560
3376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73
3375 불호령 風磬 2006.12.23 8866
3374 비지땀 風磬 2006.12.23 7287
3373 빈대떡 風磬 2006.12.23 7755
3372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033
3371 사또 風磬 2006.12.26 70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