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9

도우미

조회 수 832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우미

2년 전쯤이다. 인기가 높은 한 방송극에서 여주인공이 ‘헬퍼’라는 직업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도우미’라는 우리말이 ‘헬퍼’에 자리를 빼앗기지는 않을까 걱정한 적이 있다. 극작가로서는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르겠지만 ‘(가사) 도우미’라는 좋은 말이 있는데 하필 보편화되지도 않은 ‘(리빙) 헬퍼’라는 말을 썼을까 하는 아쉬움이 더했다. 드라마 영향만은 아니겠지만 결국 ‘헬퍼’라는 말은 ‘가정부, (가사) 도우미’ 등으로 불리던 직업의 또다른 말로 자리를 잡고 말았다.

우리말보다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는 막연한 인식 탓에 외래어 새말이 우리말을 밀어내는 사례가 많다. 백화점에 ‘목도리 매장’은 없고 ‘머플러 코너’가 있다. 회의를 할 때 명단과 일정을 점검하기도 하지만 ‘미팅을 세팅할 때 리스트와 스케줄을 체크’하기도 한다.

외래어 새말이 큰 세력을 얻지 못하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라이프가드’(life guard)보다는 ‘안전 요원’이 훨씬 많이 쓰이고, ‘데빗카드’(debit card)보다는 ‘직불카드’가 익숙하다. 이렇게 새로 들어온 외래어보다 우리말이 쉽고 간단할 때는 호락호락 자리를 빼앗기지 않는다. 이미 쓰던 말이 있는데 비슷한 의미의 새말이 생기면 기존의 말과 경쟁 관계에 놓인다. ‘베이비시터’, ‘실버시터’와 자리를 다투는 ‘아이 돌보미, 경로도우미’ 등의 새말들이 널리 자리잡기 바란다. 말은 가려쓰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따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18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3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302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03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35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55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21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905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36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60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33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54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14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16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483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79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35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82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224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376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18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10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