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9

도우미

조회 수 839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우미

2년 전쯤이다. 인기가 높은 한 방송극에서 여주인공이 ‘헬퍼’라는 직업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도우미’라는 우리말이 ‘헬퍼’에 자리를 빼앗기지는 않을까 걱정한 적이 있다. 극작가로서는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르겠지만 ‘(가사) 도우미’라는 좋은 말이 있는데 하필 보편화되지도 않은 ‘(리빙) 헬퍼’라는 말을 썼을까 하는 아쉬움이 더했다. 드라마 영향만은 아니겠지만 결국 ‘헬퍼’라는 말은 ‘가정부, (가사) 도우미’ 등으로 불리던 직업의 또다른 말로 자리를 잡고 말았다.

우리말보다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는 막연한 인식 탓에 외래어 새말이 우리말을 밀어내는 사례가 많다. 백화점에 ‘목도리 매장’은 없고 ‘머플러 코너’가 있다. 회의를 할 때 명단과 일정을 점검하기도 하지만 ‘미팅을 세팅할 때 리스트와 스케줄을 체크’하기도 한다.

외래어 새말이 큰 세력을 얻지 못하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라이프가드’(life guard)보다는 ‘안전 요원’이 훨씬 많이 쓰이고, ‘데빗카드’(debit card)보다는 ‘직불카드’가 익숙하다. 이렇게 새로 들어온 외래어보다 우리말이 쉽고 간단할 때는 호락호락 자리를 빼앗기지 않는다. 이미 쓰던 말이 있는데 비슷한 의미의 새말이 생기면 기존의 말과 경쟁 관계에 놓인다. ‘베이비시터’, ‘실버시터’와 자리를 다투는 ‘아이 돌보미, 경로도우미’ 등의 새말들이 널리 자리잡기 바란다. 말은 가려쓰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따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57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6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4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62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700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57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12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74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87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4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116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10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74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98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402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29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53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118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97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67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40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10033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