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7

고구마

조회 수 885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구마

쌀·보리 같은 곡물 대신 감자와 함께 흔히 먹는 식물에 고구마가 있다. 대체로 ‘고구마’로 부르지만 경남에서는 ‘고매’라 일컫고, 전남에서는 ‘감자’, 제주에서는 ‘감저’라고도 한다. 겨울에는 물기가 많은 ‘물고구마’가 좋고, 여름에는 밤처럼 포슬포슬한 ‘밤고구마’를 즐겨 찾는다. 군고구마·찐고구마도 있고, 쌀이 모자라던 전날엔 술을 담가 먹기도 했다.

고구마는 잎이 자라면 어린잎을 따 먹는데 이를 ‘고구맛순/고구마 순’이라 한다. 조금 더 자라서 줄기(덩굴·넝쿨)를 뻗으면 이를 ‘고구마 줄기’라 하는데, 실제로는 ‘잎자로’로서 지역에 따라서 ‘고구마 줄기/쭐기, 고구마 줄거리/쭐거리’라 부른다.

경기도에서는 ‘고구마 줄기, 고구마 줄거리, 고구마 순’을 일반적으로 쓰고, 경상 방언에서는 ‘줄기’를 ‘쭐기·줄거리·쭐거리·쭐그리·쭐겡이’로 쓴다. 충북에서도 ‘줄기·줄거리·쭐거리’로 발음한다. 전남과 충남에서는 ‘감자 순/감잣순, 감자 줄기, 감자 줄거리, 감자 대/감잣대’로 쓴다. 제주에서는 ‘감젓줄·감저꿀·감저뗑가리’ 등을 쓴다. 전북에서는 ‘고구마 줄거리, 고구마 순/고구맛순, 고구마 대/고구맛대’라고 일컫는데 특히 ‘고구맛순’과 ‘고구맛대’를 많이 쓴다. 고구마 잎자루를 따서 잎을 버리고 그 대를 먹는 까닭에 ‘고구맛대’로 부르는 것 같다. 표준어로는 ‘고구마 줄기’라 부르면 되지만, 지역에 따라서 고구마의 어린잎과 줄기를 부르는 이름과 그것을 식용으로 하면서 부르는 이름에서 상당한 차이가 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92
1742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59
1741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61
1740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61
1739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67
1738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71
1737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79
1736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80
1735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1
1734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81
1733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82
1732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85
1731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686
1730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88
1729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1
172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93
1727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94
1726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698
1725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02
1724 무데뽀 바람의종 2008.02.12 8709
1723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1722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714
1721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