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7 02:09

궁시렁궁시렁

조회 수 712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궁시렁궁시렁

소리나 모양을 본떠서 나타내는 낱말을 시늉말이라 한다. 이런 말은 ‘졸졸/줄줄’, ‘겅중겅중/껑충껑충’처럼 자음이나 모음을 바꿔 느낌을 달리 나타낼 수 있다. 곧 ‘졸졸’보다 ‘줄줄’이 크고 무거운 느낌을, ‘겅중겅중’보다 ‘껑충껑충’이 ‘세고 거친 느낌’을 준다. 이처럼 시늉말에서는 양성보다 음성모음이 결합된 말이 크고 무거운 느낌을, 예사소리보다 된소리나 거센소리가 합친 말이 세고 거친 느낌을 준다. 시늉말 가운데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이 적잖다.

“궁시렁궁시렁 불만이 많지만 … 조금씩 악기를 연주하게 된다.”(〈한겨레〉 2006년 3월15일치)/ “등 뒤에서 운전사가 뭐라고 궁시렁거리는 소리가 들렸지만 상관하지 않았다.”(구효서 〈낯선 여름〉)/ “칡덩굴로 탄탄하게 엮은 광주리 속에서 중병아리가 삐약삐약 운다.”(박경리 〈토지〉)

못마땅하여 군소리를 자꾸 하는 모양을 뜻하는 말로 ‘구시렁구시렁’은 있지만 ‘궁시렁궁시렁’은 사전에 없고, ‘삐악삐악’은 있지만 ‘삐약삐약’은 오르지 않았다. 시늉말은 소리나 모양을 본뜬 말이므로 언중이 널리 쓰는 말을 사전에 올려야 한다. 현실에서는 ‘구시렁구시렁’보다는 ‘궁시렁궁시렁’이, ‘삐악삐악’보다는 ‘삐약삐약’이 더 많이 쓰인다. 이 말들을 사전에 올린다면 ‘궁시렁거리다·궁시렁대다·궁시렁궁시렁하다’와 ‘삐약거리다·삐약대다·삐약삐약하다’도 함께 올려야 할 것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74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78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89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99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22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50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19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868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25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45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27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53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02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12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483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67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14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78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198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361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15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00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