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6 03:52

새말의 정착

조회 수 760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의 정착

어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그게 얼마나 오래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눈길을 끌 기사 제목을 달고자 만든 새말이 그때만 쓰이고 사라질 수도 있고,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새로 만들어 쓴 말이 누리꾼 사이에 잠깐 유행하다 자취를 감출 수도 있다. 낱낱의 새말이 널리 퍼져 정착하는지, 잠시 쓰이다 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면 그런 말의 쓰임을 꾸준히 조사해야 한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 중에 2005년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행정수도’였다. 그해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특별법 위헌 결정부터 2005년 11월 행정도시 특별법 합헌 결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국민의 관심사였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다음으로는 ‘네티즌’을 바꿔 만든 ‘누리꾼’이 많이 쓰였다. 처음 생겼을 때는 ‘네티즌’보다 세가 약했으나 언론과 인터넷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많이 쓰면서 자리를 잡는다. 3위는 경제 분야 말 ‘종합 부동산세’였다. 줄여서 ‘종부세’도 많이 쓰이는데, 관련 법이 적용되는 까닭에 앞으로도 활발하게 쓰일 터이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들이 2005년에도 꾸준히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 말은 54%였다. 절반 정도가 지속적으로 쓰이고 나머지는 1년 사이에 세력을 잃은 것이다. 2003년 새말은 52%, 2002년 새말은 45% 정도가 2005년에도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넘게 꾸준히 쓰임이 조사되는 새말은 우리말의 어휘 집합 안에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1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7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80
3018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65
301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2
3016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61
3015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959
3014 마는, 만은 바람의종 2010.10.11 12958
3013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948
3012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939
3011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924
3010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924
3009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22
3008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912
3007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911
3006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1
3005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74
3004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873
3003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51
3002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50
3001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27
3000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23
2999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23
2998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811
2997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