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6 03:52

새말의 정착

조회 수 771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의 정착

어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그게 얼마나 오래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눈길을 끌 기사 제목을 달고자 만든 새말이 그때만 쓰이고 사라질 수도 있고,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새로 만들어 쓴 말이 누리꾼 사이에 잠깐 유행하다 자취를 감출 수도 있다. 낱낱의 새말이 널리 퍼져 정착하는지, 잠시 쓰이다 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면 그런 말의 쓰임을 꾸준히 조사해야 한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 중에 2005년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행정수도’였다. 그해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특별법 위헌 결정부터 2005년 11월 행정도시 특별법 합헌 결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국민의 관심사였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다음으로는 ‘네티즌’을 바꿔 만든 ‘누리꾼’이 많이 쓰였다. 처음 생겼을 때는 ‘네티즌’보다 세가 약했으나 언론과 인터넷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많이 쓰면서 자리를 잡는다. 3위는 경제 분야 말 ‘종합 부동산세’였다. 줄여서 ‘종부세’도 많이 쓰이는데, 관련 법이 적용되는 까닭에 앞으로도 활발하게 쓰일 터이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들이 2005년에도 꾸준히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 말은 54%였다. 절반 정도가 지속적으로 쓰이고 나머지는 1년 사이에 세력을 잃은 것이다. 2003년 새말은 52%, 2002년 새말은 45% 정도가 2005년에도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넘게 꾸준히 쓰임이 조사되는 새말은 우리말의 어휘 집합 안에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7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37
1060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406
1059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403
1058 비지땀 風磬 2006.12.23 7401
1057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400
1056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9
1055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99
1054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98
1053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97
1052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93
1051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91
1050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91
1049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87
1048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86
1047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385
1046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82
104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79
1044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79
1043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79
1042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377
1041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75
1040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75
1039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