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7

다슬기

조회 수 881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슬기

다슬기를 사다가 된장을 좀 풀고 거기에 아욱이나 시금치 또는 애호박을 조금 넣고 끓이면 맛있는 다슬깃국이 된다. 다슬기의 시원한 맛과 채소 맛이 어우러져 한결 가을 입맛을 돋울 만하다.

‘다슬기’도 고장에 따라 부르는 말이 다르다. 경남에서는 ‘고동·고둥·고딩이’라 부르고, 경북과 강원에서는 ‘골뱅이’라 일컫는다. 충청 지역에서는 ‘올갱이·올강·올뱅이’라 하거나 ‘베틀올갱이·베틀올강’이라고도 부른다. 강원과 경기 쪽에서는 ‘달팽이’라 부른다. 전북·전남 등 호남 지역에서는 ‘다슬이·대사리·대수리·다실개’라 일컫는다. 전북을 중심으로 한 인접 지역에서 ‘물고동’이라고도 하고, 전남에서는 ‘갯고동·갯다사리·갯물고동·갯비트리·비트리’라고도 부른다. 제주에서는 ‘가메기보말·민물보말’이라고 한다.

‘고둥·골뱅이’는 주로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을 말한다. ‘다슬기’를 ‘고둥·골뱅이’라 부르는 지역은 바다와 가까운 곳이다. ‘달팽이’는 주로 논과 밭이나 풀숲에서 사는데, 내륙에서 주로 쓴다. ‘다슬이·대수리’라 일컫는 지역은 냇물이나 연못이 많은 지역이다. ‘물고동’은 바다에 사는 ‘고둥’과 구별하려고 민물에 사는 ‘민물고둥’을 일컫는 말이다.

곳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이 다르고 그 문화에 따라 연체동물의 이름도 섬세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이름에 걸맞은 문화를 존중해야 할 때다. 따라서 하나만 내세우고 나머지를 버릴 것이 아니라, 두루 그 고장 문화를 이해하고 알고자 노력했으면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43
1786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06
1785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305
1784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96
1783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29
1782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51
1781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35
1780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80
1779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76
1778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40
1777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49
1776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48
1775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774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727
1773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09
1772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16
1771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96
1770 사시미, 스시, 스키다시, 락교, 와사비 바람의종 2012.09.04 11264
1769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44
176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33
1767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9
1766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8
1765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