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7

다슬기

조회 수 888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슬기

다슬기를 사다가 된장을 좀 풀고 거기에 아욱이나 시금치 또는 애호박을 조금 넣고 끓이면 맛있는 다슬깃국이 된다. 다슬기의 시원한 맛과 채소 맛이 어우러져 한결 가을 입맛을 돋울 만하다.

‘다슬기’도 고장에 따라 부르는 말이 다르다. 경남에서는 ‘고동·고둥·고딩이’라 부르고, 경북과 강원에서는 ‘골뱅이’라 일컫는다. 충청 지역에서는 ‘올갱이·올강·올뱅이’라 하거나 ‘베틀올갱이·베틀올강’이라고도 부른다. 강원과 경기 쪽에서는 ‘달팽이’라 부른다. 전북·전남 등 호남 지역에서는 ‘다슬이·대사리·대수리·다실개’라 일컫는다. 전북을 중심으로 한 인접 지역에서 ‘물고동’이라고도 하고, 전남에서는 ‘갯고동·갯다사리·갯물고동·갯비트리·비트리’라고도 부른다. 제주에서는 ‘가메기보말·민물보말’이라고 한다.

‘고둥·골뱅이’는 주로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을 말한다. ‘다슬기’를 ‘고둥·골뱅이’라 부르는 지역은 바다와 가까운 곳이다. ‘달팽이’는 주로 논과 밭이나 풀숲에서 사는데, 내륙에서 주로 쓴다. ‘다슬이·대수리’라 일컫는 지역은 냇물이나 연못이 많은 지역이다. ‘물고동’은 바다에 사는 ‘고둥’과 구별하려고 민물에 사는 ‘민물고둥’을 일컫는 말이다.

곳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이 다르고 그 문화에 따라 연체동물의 이름도 섬세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이름에 걸맞은 문화를 존중해야 할 때다. 따라서 하나만 내세우고 나머지를 버릴 것이 아니라, 두루 그 고장 문화를 이해하고 알고자 노력했으면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26
3018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57
3017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61
3016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736
3015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689
3014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223
301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39
3012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46
3011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60
301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48
30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25
300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07
3007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742
3006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40
300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83
30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79
3003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37
3002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43
300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03
3000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1
299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8
299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252
2997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