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7

다슬기

조회 수 895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슬기

다슬기를 사다가 된장을 좀 풀고 거기에 아욱이나 시금치 또는 애호박을 조금 넣고 끓이면 맛있는 다슬깃국이 된다. 다슬기의 시원한 맛과 채소 맛이 어우러져 한결 가을 입맛을 돋울 만하다.

‘다슬기’도 고장에 따라 부르는 말이 다르다. 경남에서는 ‘고동·고둥·고딩이’라 부르고, 경북과 강원에서는 ‘골뱅이’라 일컫는다. 충청 지역에서는 ‘올갱이·올강·올뱅이’라 하거나 ‘베틀올갱이·베틀올강’이라고도 부른다. 강원과 경기 쪽에서는 ‘달팽이’라 부른다. 전북·전남 등 호남 지역에서는 ‘다슬이·대사리·대수리·다실개’라 일컫는다. 전북을 중심으로 한 인접 지역에서 ‘물고동’이라고도 하고, 전남에서는 ‘갯고동·갯다사리·갯물고동·갯비트리·비트리’라고도 부른다. 제주에서는 ‘가메기보말·민물보말’이라고 한다.

‘고둥·골뱅이’는 주로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을 말한다. ‘다슬기’를 ‘고둥·골뱅이’라 부르는 지역은 바다와 가까운 곳이다. ‘달팽이’는 주로 논과 밭이나 풀숲에서 사는데, 내륙에서 주로 쓴다. ‘다슬이·대수리’라 일컫는 지역은 냇물이나 연못이 많은 지역이다. ‘물고동’은 바다에 사는 ‘고둥’과 구별하려고 민물에 사는 ‘민물고둥’을 일컫는 말이다.

곳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이 다르고 그 문화에 따라 연체동물의 이름도 섬세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이름에 걸맞은 문화를 존중해야 할 때다. 따라서 하나만 내세우고 나머지를 버릴 것이 아니라, 두루 그 고장 문화를 이해하고 알고자 노력했으면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88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8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340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17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55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86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32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964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49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89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49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86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35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39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501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88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88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300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326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424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45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43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9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