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7

다슬기

조회 수 868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슬기

다슬기를 사다가 된장을 좀 풀고 거기에 아욱이나 시금치 또는 애호박을 조금 넣고 끓이면 맛있는 다슬깃국이 된다. 다슬기의 시원한 맛과 채소 맛이 어우러져 한결 가을 입맛을 돋울 만하다.

‘다슬기’도 고장에 따라 부르는 말이 다르다. 경남에서는 ‘고동·고둥·고딩이’라 부르고, 경북과 강원에서는 ‘골뱅이’라 일컫는다. 충청 지역에서는 ‘올갱이·올강·올뱅이’라 하거나 ‘베틀올갱이·베틀올강’이라고도 부른다. 강원과 경기 쪽에서는 ‘달팽이’라 부른다. 전북·전남 등 호남 지역에서는 ‘다슬이·대사리·대수리·다실개’라 일컫는다. 전북을 중심으로 한 인접 지역에서 ‘물고동’이라고도 하고, 전남에서는 ‘갯고동·갯다사리·갯물고동·갯비트리·비트리’라고도 부른다. 제주에서는 ‘가메기보말·민물보말’이라고 한다.

‘고둥·골뱅이’는 주로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을 말한다. ‘다슬기’를 ‘고둥·골뱅이’라 부르는 지역은 바다와 가까운 곳이다. ‘달팽이’는 주로 논과 밭이나 풀숲에서 사는데, 내륙에서 주로 쓴다. ‘다슬이·대수리’라 일컫는 지역은 냇물이나 연못이 많은 지역이다. ‘물고동’은 바다에 사는 ‘고둥’과 구별하려고 민물에 사는 ‘민물고둥’을 일컫는 말이다.

곳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이 다르고 그 문화에 따라 연체동물의 이름도 섬세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이름에 걸맞은 문화를 존중해야 할 때다. 따라서 하나만 내세우고 나머지를 버릴 것이 아니라, 두루 그 고장 문화를 이해하고 알고자 노력했으면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19
3018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891
301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90
3016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882
3015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81
3014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878
3013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874
3012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2866
3011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51
3010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47
3009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38
3008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20
3007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14
3006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07
3005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04
3004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02
3003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780
3002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777
300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76
3000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72
2999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62
2998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61
299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