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7

다슬기

조회 수 876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슬기

다슬기를 사다가 된장을 좀 풀고 거기에 아욱이나 시금치 또는 애호박을 조금 넣고 끓이면 맛있는 다슬깃국이 된다. 다슬기의 시원한 맛과 채소 맛이 어우러져 한결 가을 입맛을 돋울 만하다.

‘다슬기’도 고장에 따라 부르는 말이 다르다. 경남에서는 ‘고동·고둥·고딩이’라 부르고, 경북과 강원에서는 ‘골뱅이’라 일컫는다. 충청 지역에서는 ‘올갱이·올강·올뱅이’라 하거나 ‘베틀올갱이·베틀올강’이라고도 부른다. 강원과 경기 쪽에서는 ‘달팽이’라 부른다. 전북·전남 등 호남 지역에서는 ‘다슬이·대사리·대수리·다실개’라 일컫는다. 전북을 중심으로 한 인접 지역에서 ‘물고동’이라고도 하고, 전남에서는 ‘갯고동·갯다사리·갯물고동·갯비트리·비트리’라고도 부른다. 제주에서는 ‘가메기보말·민물보말’이라고 한다.

‘고둥·골뱅이’는 주로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을 말한다. ‘다슬기’를 ‘고둥·골뱅이’라 부르는 지역은 바다와 가까운 곳이다. ‘달팽이’는 주로 논과 밭이나 풀숲에서 사는데, 내륙에서 주로 쓴다. ‘다슬이·대수리’라 일컫는 지역은 냇물이나 연못이 많은 지역이다. ‘물고동’은 바다에 사는 ‘고둥’과 구별하려고 민물에 사는 ‘민물고둥’을 일컫는 말이다.

곳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이 다르고 그 문화에 따라 연체동물의 이름도 섬세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이름에 걸맞은 문화를 존중해야 할 때다. 따라서 하나만 내세우고 나머지를 버릴 것이 아니라, 두루 그 고장 문화를 이해하고 알고자 노력했으면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27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444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86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43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32
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69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85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39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34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3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05
60 쓰봉 風文 2023.11.16 1185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286
58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29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26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91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75
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25
53 내색 風文 2023.11.24 1085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557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54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74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8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