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3 04:33

뒷담화

조회 수 702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뒷담화

얼마 전 “‘뒷담화’가 맞아요? ‘뒷다마’가 맞아요?” 하는 질문을 받았다. 어떤 사람은 ‘뒷담화’(-談話)가, 다른 사람은 ‘뒷다마’(-たま)가 맞다고 하는 바람에 말싸움이 붙었단다. 주로 ‘뒷담화/뒷다마를 까다’와 같이 비속하게 쓰이다 보니 국어사전에도 오르지 않아 궁금해하는 이들이 많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정착되었기에 ‘뒷다마를 까다’라는 표현이 언제 어떻게 생겼는지 밝히기는 어렵다. 일본말 ‘아다마’(아타마)에서 ‘뒤통수를 치다’라는 뜻의 ‘뒷다마를 까다’라는 표현이 만들어졌다는 주장, 당구대를 맞고 돌던 공이 우연히 다른 공을 맞혔을 때 쓰는 당구말 ‘뒷다마’(-たま)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다. 당구장에서 ‘뒷다마’라는 말이 흔히 쓰이고 생성 과정이 단순하다는 점에서 뒤쪽이 그럴듯하다. 그런데 왜 ‘뒷다마를 치다’가 아니고 ‘뒷다마를 까다’일까? 부정적인 뜻을 강조하고자 ‘치다’를 ‘남의 결함을 들추어 비난하다’라는 뜻의 ‘까다’로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뒷담화’는 ‘뒷다마’라는 말이 일본어에서 온 것이고 비속한 느낌이 강해 ‘다마’(-たま) 대신 발음이 비슷한 ‘담화’를 붙여 새로 만든 말이다. 일단 ‘뒷담화’라는 말이 만들어지고 나니 ‘이야기’라는 뜻이 반영돼 ‘영화 촬영 뒷담화, 공연 뒷담화’처럼 ‘뒷이야기’ 뜻으로도 쓰인다.

‘뒷다마’나 ‘뒷담화’란 말보다는 ‘일이 끝난 뒤 뒷공론으로 하는 말’이라는 뜻의 ‘뒷말’이나 ‘뒷이야기’와 같이 쉬운 말을 쓰는 것이 좋겠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94
3040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096
3039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657
303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0
303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29
3036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34
3035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450
3034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271
3033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10
3032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60
303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41
3030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81
3029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766
3028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08
3027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14
3026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5
302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17
3024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524
3023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3896
3022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494
3021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476
302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52
3019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