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87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71
2072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420
2071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530
2070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71
2069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49
2068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62
2067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70
2066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97
2065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392
2064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501
206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83
2062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868
2061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97
2060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95
2059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43
2058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39
2057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505
2056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230
2055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609
2054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67
2053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43
2052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668
2051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