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84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16
1390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555
1389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7
1388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557
1387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9
1386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63
1385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5
1384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66
1383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570
1382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571
1381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71
1380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6
1379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76
1378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8
1377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81
1376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586
1375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91
1374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373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95
1372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602
1371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8
1370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12
1369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6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