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63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67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5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75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0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43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52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74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580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7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66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54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64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131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56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774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49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355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07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20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4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09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12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