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64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83
2028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001
2027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02
2026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02
2025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03
2024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04
2023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004
202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10
2021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13
2020 돌팔이 風磬 2006.11.16 8014
2019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14
2018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018
2017 날으는 비행기? 바람의종 2010.01.27 8024
2016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29
2015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31
2014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35
2013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37
2012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42
2011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42
2010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45
200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48
2008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48
2007 날으는, 시들은, 찌들은, 녹슬은 바람의종 2009.07.10 8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