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2

운율

조회 수 835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운율

고장말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게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그리고 길고 짧음’이다. 이 요소가 지역마다 달라서 경상 방언에는 음의 높낮이가 뚜렷하고, 전라와 충청 방언에는 길고 짧음(장단)이 두드러진다. 시인이나 작가들은 지역 언어에서 익힌 이 고유한 운율로 저마다 고향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 박목월은 〈사투리〉란 작품에서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고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라며 자신의 고장말을 통해 경상도 사람들의 정감과 심성,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미당 서정주는 시 〈화사〉에서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베암…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여났기에, 저리도 징그라운 몸둥아리냐”라고 표현하면서 장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서적 현장감과 사실성을 나타내고자 쓰이고, 또한 운율과 관련되어 부드럽고 유연함을 더하고 있다.
김영랑의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에서는 “오매 단풍들것네”라는 전라 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율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감탄사 ‘오매’를 ‘오오매, 오오오매’와 같이 음절을 늘리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시인들은 갖가지 비유뿐만 아니라 ‘오오라베, 베암, 오오오매’와 같은 고장말의 독특한 운율을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기도 하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83
2578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257
2577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631
2576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2023
2575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45
2574 웃, 윗 바람의종 2010.04.24 10707
2573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472
2572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712
2571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37
2570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77
2569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30
2568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704
2567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47
2566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703
»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56
2564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132
2563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934
2562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56
2561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87
2560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48
2559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43
255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06
255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6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