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2

운율

조회 수 836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운율

고장말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게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그리고 길고 짧음’이다. 이 요소가 지역마다 달라서 경상 방언에는 음의 높낮이가 뚜렷하고, 전라와 충청 방언에는 길고 짧음(장단)이 두드러진다. 시인이나 작가들은 지역 언어에서 익힌 이 고유한 운율로 저마다 고향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 박목월은 〈사투리〉란 작품에서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고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라며 자신의 고장말을 통해 경상도 사람들의 정감과 심성,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미당 서정주는 시 〈화사〉에서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베암…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여났기에, 저리도 징그라운 몸둥아리냐”라고 표현하면서 장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서적 현장감과 사실성을 나타내고자 쓰이고, 또한 운율과 관련되어 부드럽고 유연함을 더하고 있다.
김영랑의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에서는 “오매 단풍들것네”라는 전라 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율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감탄사 ‘오매’를 ‘오오매, 오오오매’와 같이 음절을 늘리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시인들은 갖가지 비유뿐만 아니라 ‘오오라베, 베암, 오오오매’와 같은 고장말의 독특한 운율을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기도 하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27
3040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67
3039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69
3038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23
3037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73
3036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72
3035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851
3034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44
3033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63
303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03
3031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86
3030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73
3029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86
3028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48
3027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47
3026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61
302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16
3024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818
3023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17
3022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949
3021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020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51
3019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8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