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2

운율

조회 수 837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운율

고장말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게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그리고 길고 짧음’이다. 이 요소가 지역마다 달라서 경상 방언에는 음의 높낮이가 뚜렷하고, 전라와 충청 방언에는 길고 짧음(장단)이 두드러진다. 시인이나 작가들은 지역 언어에서 익힌 이 고유한 운율로 저마다 고향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 박목월은 〈사투리〉란 작품에서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고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라며 자신의 고장말을 통해 경상도 사람들의 정감과 심성,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미당 서정주는 시 〈화사〉에서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베암…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여났기에, 저리도 징그라운 몸둥아리냐”라고 표현하면서 장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서적 현장감과 사실성을 나타내고자 쓰이고, 또한 운율과 관련되어 부드럽고 유연함을 더하고 있다.
김영랑의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에서는 “오매 단풍들것네”라는 전라 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율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감탄사 ‘오매’를 ‘오오매, 오오오매’와 같이 음절을 늘리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시인들은 갖가지 비유뿐만 아니라 ‘오오라베, 베암, 오오오매’와 같은 고장말의 독특한 운율을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기도 하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12
3040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217
3039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6
3038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198
3037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93
3036 교환 / 교체 바람의종 2010.10.04 13173
3035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64
3034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164
3033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57
3032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148
3031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45
3030 다대기, 닭도리탕 바람의종 2012.07.06 13143
3029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42
3028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089
3027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3069
3026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3056
3025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49
3024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9
3023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3028
3022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3012
3021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3003
3020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95
3019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