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2

운율

조회 수 810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운율

고장말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게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그리고 길고 짧음’이다. 이 요소가 지역마다 달라서 경상 방언에는 음의 높낮이가 뚜렷하고, 전라와 충청 방언에는 길고 짧음(장단)이 두드러진다. 시인이나 작가들은 지역 언어에서 익힌 이 고유한 운율로 저마다 고향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 박목월은 〈사투리〉란 작품에서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고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라며 자신의 고장말을 통해 경상도 사람들의 정감과 심성,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미당 서정주는 시 〈화사〉에서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베암…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여났기에, 저리도 징그라운 몸둥아리냐”라고 표현하면서 장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서적 현장감과 사실성을 나타내고자 쓰이고, 또한 운율과 관련되어 부드럽고 유연함을 더하고 있다.
김영랑의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에서는 “오매 단풍들것네”라는 전라 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율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감탄사 ‘오매’를 ‘오오매, 오오오매’와 같이 음절을 늘리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시인들은 갖가지 비유뿐만 아니라 ‘오오라베, 베암, 오오오매’와 같은 고장말의 독특한 운율을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기도 하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0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5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51
70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017
69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015
68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014
67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14
66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012
6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009
64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007
6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07
62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006
61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06
60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03
59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02
58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999
57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995
56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995
55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991
54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987
53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987
5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984
51 내색 風文 2023.11.24 984
5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981
49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9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