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0

싸우다와 다투다

조회 수 714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싸우다와 다투다

국어사전은 ‘싸우다’를 물으면 ‘다투다’라 하고, ‘다투다’를 찾으면 ‘싸우다’라 한다. 이들과 비슷한 ‘겨루다’도 있는데 그것도 ‘다투다’라고 한다. 참으로 국어사전대로 ‘싸우다’와 ‘다투다’가 서로 같고, ‘겨루다’는 ‘다투다’와 같다면 셋은 모두 같은 셈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세 낱말이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생겨나서 오늘까지 쓰이고 있겠는가? 본디 다른 뜻을 지니고 다른 모습으로 태어나 서로 달리 쓰였으나, 걷잡을 수 없는 세상 소용돌이를 살아오느라고 우리가 본디 뜻을 잊어버리고 헷갈리는 것일 뿐이다.

‘겨루다’는 일정한 가늠과 잣대를 세워놓고 힘과 슬기를 다하여 서로 이기려고 갋으며 맞서는 노릇이다. 맞서는 두 쪽이 혼자씩일 수도 있고 여럿씩일 수도 있지만 가늠과 잣대는 두 쪽을 저울같이 지켜준다. 한 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바르고 반듯한 처지를 만들어주고 오직 힘과 슬기에 따라서만 이기고 지는 판가름이 나도록 하는 노릇이다. 놀이와 놀음의 바탕은 본디 겨루기에 있고, 그것을 가장 두드러지게 내세우는 것이 이른바 운동경기다.

‘싸우다’와 ‘다투다’는 둘 다 공평하도록 지켜주는 가늠과 잣대란 본디 없고 어떻게든 서로 이기려고만 하면서 맞서는 노릇이다. 그런데 ‘다투다’는 목숨을 걸지도 않고 몸을 다치게 하지도 않아서 거의 삿대질이나 말로써만 맞선다. ‘싸우다’는 다투는 것을 싸잡고 몸을 다치게도 할 뿐 아니라 마침내 목숨마저 떼어놓고 맞서는 이른바 전쟁까지도 싸잡는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21
3040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29
3039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28
3038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25
3037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98
3036 교환 / 교체 바람의종 2010.10.04 13173
3035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169
3034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67
3033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64
3032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148
3031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47
3030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45
3029 다대기, 닭도리탕 바람의종 2012.07.06 13143
3028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112
3027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3092
3026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3085
3025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54
3024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33
3023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3031
3022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3012
3021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3003
3020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3001
3019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