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8 02:05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조회 수 642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우리말에서 과거를 나타낼 때 용언이 양성모음이면 ‘았’을 쓰고 음성모음이면 ‘었’을 쓴다. ‘길을 막았다’에서 ‘막’의 ‘ㅏ’가 양성이어서 ‘았’이, ‘밥을 먹었다’에서 ‘먹’의 ‘ㅓ’가 음성이어서 ‘었’이 쓰였다. ‘아라/어라’도 마찬가지다. 이런 말소리 현상을 모음조화라 한다. 우리말에서는 소리흉내말에서 두드러진다. ‘촐랑촐랑, 출렁출렁’처럼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서로 어울린다. 이런 모음조화 현상이 잘 지켜지는 말이 터키말이다. 터키말에서 복수는 ‘-lar, -ler’로 표현하는데, 이들은 명사에 어떤 모음이 있느냐에 따라 같은 소리를 가진 형태가 선택된다. araba-lar(자동차), ekmek-ler(빵)가 그렇다. 터키말은 우리말보다 더 철저하게 모음조화가 지켜지는 말이다.

이 터키말이 알타이어족 튀르크어파에 든다. 튀르크어파는 역사책에 돌궐로 적혀 있으며, 오래된 비석글이 남아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다. 그 대표적인 언어가 터키말이고, 거기에서 동북쪽으로 시베리아 동쪽까지 올라가면서, 중앙아시아의 카자흐말·우즈베크말·키르기스말·투르크멘말을 비롯하여, 중국땅에 있는 위구르말·살라르말, 러시아 쪽 알타이말·추바시말·야쿠트말 등 모두 서른 남짓 말이 분포하고 있다. 정도 차이는 있지만, 서로 의사소통이 되기도 한다. 이들 언어를 쓰는 민족들은 대부분 터키언어권에 든다는 유대감이 강하다. 말을 통해 겨레의 유대감을 굳건히 하는 좋은 보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1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210
312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044
311 타산지석 바람의종 2010.03.10 10520
310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14
309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511
30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185
307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516
306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18
305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517
304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569
303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24
302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00
301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861
300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053
»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26
298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7995
297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754
296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358
295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092
294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32
293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503
292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36
291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