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7 20:21

는개와 느리

조회 수 1075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는개와 느리

땅 위의 목숨이 모두 그렇듯 우리 겨레도 죽살이를 비와 눈에 걸어놓고 있었다. 요즘에는 상점·공장·회사·사무실 같이 집안에서 많이 살지만 지난날에는 농사짓고 고기잡으며 사시사철 집밖 한데서 눈비와 어우러져 살았다. 그만큼 눈비에 마음을 쓰지 않을 수 없었기에 그 이름도 어지간히 많다.

‘는개’는 국어사전에도 올라서 꽤 널리 알려진 말이다. “안개보다는 조금 굵고 이슬비보다는 가는 비”라고 풀이해 놓았다. 틀렸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모자라는 풀이다. ‘는개’는 “늘어진 안개”라는 어구가 줄어진 낱말임을 밝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는개’는 비라고 하기가 뭣해서 안개 쪽에다 붙여놓은 이름인 셈인데, ‘는개’처럼 비라고 하기가 뭣해서 비라고 하지 않은 것에 ‘먼지잼’이 또 있다. ‘먼지잼’은 “공중에 떠도는 먼지를 땅으로 데려와서 잠재우는 것”이라는 뜻의 풀이를 그대로 줄여 만든 낱말이다.

‘느리’는 국어사전에 오르지도 못한 낱말이다. 농사짓고 고기잡는 일을 내버려 눈비에서 마음이 떠난 요즘은 들어볼 수도 없고,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들도 쓰지 않아 잊어버렸나 싶은 낱말이다. 지난 겨울 어느 이른 아침 대전에서 수십 년 만에 ‘느리’를 만나 오래 잊고 살았던 이름을 새삼 떠올렸다. ‘느리’는 “늘어난 서리”라는 어구를 줄여서 만든 낱말이지만 뜻은 그보다 훨씬 겹겹이다. 모두 잠든 사이에 살짝 오다 그친 ‘도둑눈’이면서 마치 ‘서리’처럼 자디잔 ‘싸락눈’이라 햇볕이 나면 곧장 녹아버리는 눈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8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65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796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726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649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630
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85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86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902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617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607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365
60 쓰봉 風文 2023.11.16 1455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575
58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656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99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528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473
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655
53 내색 風文 2023.11.24 1355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2020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653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877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4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