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7 20:21

는개와 느리

조회 수 1061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는개와 느리

땅 위의 목숨이 모두 그렇듯 우리 겨레도 죽살이를 비와 눈에 걸어놓고 있었다. 요즘에는 상점·공장·회사·사무실 같이 집안에서 많이 살지만 지난날에는 농사짓고 고기잡으며 사시사철 집밖 한데서 눈비와 어우러져 살았다. 그만큼 눈비에 마음을 쓰지 않을 수 없었기에 그 이름도 어지간히 많다.

‘는개’는 국어사전에도 올라서 꽤 널리 알려진 말이다. “안개보다는 조금 굵고 이슬비보다는 가는 비”라고 풀이해 놓았다. 틀렸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모자라는 풀이다. ‘는개’는 “늘어진 안개”라는 어구가 줄어진 낱말임을 밝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는개’는 비라고 하기가 뭣해서 안개 쪽에다 붙여놓은 이름인 셈인데, ‘는개’처럼 비라고 하기가 뭣해서 비라고 하지 않은 것에 ‘먼지잼’이 또 있다. ‘먼지잼’은 “공중에 떠도는 먼지를 땅으로 데려와서 잠재우는 것”이라는 뜻의 풀이를 그대로 줄여 만든 낱말이다.

‘느리’는 국어사전에 오르지도 못한 낱말이다. 농사짓고 고기잡는 일을 내버려 눈비에서 마음이 떠난 요즘은 들어볼 수도 없고,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들도 쓰지 않아 잊어버렸나 싶은 낱말이다. 지난 겨울 어느 이른 아침 대전에서 수십 년 만에 ‘느리’를 만나 오래 잊고 살았던 이름을 새삼 떠올렸다. ‘느리’는 “늘어난 서리”라는 어구를 줄여서 만든 낱말이지만 뜻은 그보다 훨씬 겹겹이다. 모두 잠든 사이에 살짝 오다 그친 ‘도둑눈’이면서 마치 ‘서리’처럼 자디잔 ‘싸락눈’이라 햇볕이 나면 곧장 녹아버리는 눈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67
108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43
1081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43
1080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43
1079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48
1078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350
1077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7
1076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57
10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60
1074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366
1073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1
1072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84
1071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86
1070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87
1069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88
1068 예산 타령 바람의종 2010.10.16 10389
1067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92
1066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94
1065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401
1064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5
1063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407
1062 호구 바람의종 2010.08.17 10408
106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