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50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08
48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49
47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42
4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41
45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90
44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39
43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40
42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51
»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01
40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42
39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18
3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22
3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71
3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09
35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090
34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19
33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24
32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19
31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21
30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6979
29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25
28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86
27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