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62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44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905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88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56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805
66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68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549
6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47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85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632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70
6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94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526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857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59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87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820
5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220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307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21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9000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714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