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70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99
3062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367
3061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66
3060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359
3059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357
3058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57
3057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355
3056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52
3055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349
3054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36
3053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33
3052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81
3051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3050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67
3049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3
3048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58
3047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240
3046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39
3045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228
3044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23
3043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21
3042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219
3041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2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