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58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09
1874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87
1873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88
1872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92
1871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95
1870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396
1869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99
1868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399
1867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00
1866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05
1865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06
1864 볼멘소리 바람의종 2010.09.03 8406
186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06
1862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06
1861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8
1860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08
1859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12
1858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14
1857 방송 용어 바람의종 2010.03.05 8416
1856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19
1855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421
1854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21
1853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