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69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973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114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07/11/01 by 바람의종
    Views 8889 

    두문불출

  5.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07/11/01 by 바람의종
    Views 9492 

    소설속 고장말

  6.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07/11/01 by 바람의종
    Views 5597 

    댓글

  7.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07/11/02 by 바람의종
    Views 9362 

    단도직입

  8.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07/11/02 by 바람의종
    Views 7217 

    만주말

  9.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07/11/02 by 바람의종
    Views 10031 

    미혼남·미혼녀

  10.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07/11/03 by 바람의종
    Views 6121 

    대증요법

  11.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07/11/03 by 바람의종
    Views 6632 

    쉽게 찾기

  12.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07/11/03 by 바람의종
    Views 6000 

    금과 줄

  13. No Image 04Nov
    by 바람의종
    2007/11/04 by 바람의종
    Views 10880 

    밀랍인형

  14. No Image 04Nov
    by 바람의종
    2007/11/04 by 바람의종
    Views 9137 

    여성상과 새말

  15. No Image 04Nov
    by 바람의종
    2007/11/04 by 바람의종
    Views 7284 

    언어 보존

  16. No Image 04Nov
    by 바람의종
    2007/11/04 by 바람의종
    Views 8413 

    야단벼락/혼벼락

  17. No Image 05Nov
    by 바람의종
    2007/11/05 by 바람의종
    Views 10615 

    봉두난발

  18. No Image 05Nov
    by 바람의종
    2007/11/05 by 바람의종
    Views 5818 

    ‘뛰다’와 ‘달리다’

  19. No Image 05Nov
    by 바람의종
    2007/11/05 by 바람의종
    Views 7102 

    지역 언어

  20. No Image 05Nov
    by 바람의종
    2007/11/05 by 바람의종
    Views 7261 

    낚시질

  21. No Image 06Nov
    by 바람의종
    2007/11/06 by 바람의종
    Views 7933 

    부부 금실

  22. No Image 06Nov
    by 바람의종
    2007/11/06 by 바람의종
    Views 7572 

    칼미크말

  23. No Image 06Nov
    by 바람의종
    2007/11/06 by 바람의종
    Views 8691 

    책보따리·책보퉁이

  24. No Image 07Nov
    by 바람의종
    2007/11/07 by 바람의종
    Views 8074 

    사면초가

  25. No Image 07Nov
    by 바람의종
    2007/11/07 by 바람의종
    Views 10647 

    는개와 느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