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2

칼미크말

조회 수 736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칼미크말

카스피해 서쪽에 칼미크공화국이 있다. 러시아연방국이다. 지금 이곳 대통령은 한때 우리나라 한 자동차 회사의 러시아지역 판매원으로 활동해 큰돈을 번 사람이다. 대통령이 된 뒤 서울시와 경제협력 협정을 맺고 ‘서울타운’이라는 경제자유구역 설치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곳에는 17세기 초 서부 몽골에서 온 몽골계의 오이라트족 30여만명이 살고 있다. 이들을 칼미크족이라 하는데, 본디 ‘칼미크’란 터키말로 ‘남아 있는 사람’을 뜻한다. 곧, 이들은 이곳에 왔다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눌러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쓰는 말이 몽골어파의 하나인 ‘칼미크말’이다.

현재 칼미크말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말을 쓴다. 말을 지켜야 민족을 지킬 수 있음을 알지만 현실은 어렵다. 다른 문제는 문법이 점차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칼미크말은 우리말 ‘나는 책을 읽는다’처럼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서술어가 맨 뒤에 온다. 그런데 요즘은 러시아말 간섭을 받아 주어 다음에 서술어가 바로 오는 어순을 흔히 쓴다.

최근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에다 중국에 사는 오이라트족 1만명을 이민으로 보내 달라고 이색적인 요청을 했다. 이들이 이주해 오면 모든 편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여기서 같은 민족의 영입을 통해 사라져가는 모국어를 되살리려는 한 젊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52
3062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바람의종 2011.11.15 18782
3061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60
3060 초를 치다 바람의종 2010.09.05 13370
3059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1898
3058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06
3057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880
3056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03
3055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21
3054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241
3053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67
3052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101
3051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27
3050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33
3049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58
3048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696
3047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5
3046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12
3045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07
3044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684
3043 철장신세 바람의종 2011.11.21 10602
3042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89
3041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