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2

칼미크말

조회 수 736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칼미크말

카스피해 서쪽에 칼미크공화국이 있다. 러시아연방국이다. 지금 이곳 대통령은 한때 우리나라 한 자동차 회사의 러시아지역 판매원으로 활동해 큰돈을 번 사람이다. 대통령이 된 뒤 서울시와 경제협력 협정을 맺고 ‘서울타운’이라는 경제자유구역 설치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곳에는 17세기 초 서부 몽골에서 온 몽골계의 오이라트족 30여만명이 살고 있다. 이들을 칼미크족이라 하는데, 본디 ‘칼미크’란 터키말로 ‘남아 있는 사람’을 뜻한다. 곧, 이들은 이곳에 왔다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눌러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쓰는 말이 몽골어파의 하나인 ‘칼미크말’이다.

현재 칼미크말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말을 쓴다. 말을 지켜야 민족을 지킬 수 있음을 알지만 현실은 어렵다. 다른 문제는 문법이 점차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칼미크말은 우리말 ‘나는 책을 읽는다’처럼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서술어가 맨 뒤에 온다. 그런데 요즘은 러시아말 간섭을 받아 주어 다음에 서술어가 바로 오는 어순을 흔히 쓴다.

최근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에다 중국에 사는 오이라트족 1만명을 이민으로 보내 달라고 이색적인 요청을 했다. 이들이 이주해 오면 모든 편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여기서 같은 민족의 영입을 통해 사라져가는 모국어를 되살리려는 한 젊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45
3062 방언 분투기 / 국민 정서 風文 2020.07.12 1927
3061 배제의 용어, '학번' / '둠벙'과 생태계 風文 2020.07.10 1967
3060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095
3059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816
3058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089
3057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051
3056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59
305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187
3054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777
3053 문어발 / 징크스 風文 2020.07.02 1870
3052 오징어 1 / 오징어 2 風文 2020.07.01 1887
3051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182
3050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803
3049 ‘○○○ 의원입니다’ / ‘영업시운전’ 風文 2020.06.22 1890
3048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691
3047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33
3046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648
3045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29
3044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572
3043 황금시간 / 우리말 속 일본어 風文 2020.06.11 1959
3042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695
3041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