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2

칼미크말

조회 수 765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칼미크말

카스피해 서쪽에 칼미크공화국이 있다. 러시아연방국이다. 지금 이곳 대통령은 한때 우리나라 한 자동차 회사의 러시아지역 판매원으로 활동해 큰돈을 번 사람이다. 대통령이 된 뒤 서울시와 경제협력 협정을 맺고 ‘서울타운’이라는 경제자유구역 설치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곳에는 17세기 초 서부 몽골에서 온 몽골계의 오이라트족 30여만명이 살고 있다. 이들을 칼미크족이라 하는데, 본디 ‘칼미크’란 터키말로 ‘남아 있는 사람’을 뜻한다. 곧, 이들은 이곳에 왔다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눌러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쓰는 말이 몽골어파의 하나인 ‘칼미크말’이다.

현재 칼미크말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말을 쓴다. 말을 지켜야 민족을 지킬 수 있음을 알지만 현실은 어렵다. 다른 문제는 문법이 점차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칼미크말은 우리말 ‘나는 책을 읽는다’처럼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서술어가 맨 뒤에 온다. 그런데 요즘은 러시아말 간섭을 받아 주어 다음에 서술어가 바로 오는 어순을 흔히 쓴다.

최근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에다 중국에 사는 오이라트족 1만명을 이민으로 보내 달라고 이색적인 요청을 했다. 이들이 이주해 오면 모든 편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여기서 같은 민족의 영입을 통해 사라져가는 모국어를 되살리려는 한 젊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4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1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805
3062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404
3061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403
3060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93
3059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390
3058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376
3057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71
3056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64
3055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61
3054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51
3053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50
3052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298
3051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96
3050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92
3049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3048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5
3047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58
3046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254
3045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3249
304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247
3043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41
3042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239
3041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2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