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4

야단벼락/혼벼락

조회 수 849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야단벼락/혼벼락


‘벼락’이란 자연현상 말고도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비유적으로 일컫거나 매우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기도 한다. 이런 뜻의 ‘벼락’은 다른 말과 어울려 새말을 만들기도 하는데, ‘감벼락, 날벼락(생벼락), 돈벼락, 돌벼락, 마른벼락, 물벼락, 불벼락, 산벼락(호되게 당하는 재난을 이르는 말), 앉은벼락, 칼벼락’ 등이 그것이다. 여러 벼락 가운데 아직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로 ‘야단벼락’과 ‘혼벼락’이 있다.

“아내의 버릇없는 말에 사내가 곧 한바탕 야단벼락을 내리고 싶었으나 ….”(홍명희, 〈임꺽정〉) “까딱 잘못해서 모시옷에 얼이라도 가면 야단벼락이 떨어지고 ….”(박경리, 〈파시1〉) “그렇게 혼벼락 맞고도 언감생심 덤벼들겠습니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네놈이 살아남는다면 혼벼락을 내어줄 테니.”(박경리, 〈토지〉) “바로 이때 녀석의 아버지가 혼벼락을 내주려고 몽둥이를 거머잡고 연기 나는 써까래 사이로 들이닥쳐 …”(한상렬, 〈문장표현의 기법〉)

‘야단벼락’은 “눈물 쏙 빠지게 벼락야단을 맞지 않았겠습니까”처럼 앞뒤를 바꿔 쓰기도 하는데, 뜻은 ‘갑작스레 소리 높여 하는 아주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혼벼락’은 ‘혼이 빠질 정도로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의 뜻을 나타낸다. 줄기찬 장맛비로 온나라가 물난리를 겪는다. 막개발로 사람손을 많이 탄 지역에 수해가 심각했다. 하늘의 야단벼락, 혼벼락인 듯싶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16
1962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235
1961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237
1960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7
195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44
1958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247
1957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251
1956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255
1955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57
1954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263
1953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268
1952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268
1951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69
1950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71
1949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79
1948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81
1947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284
1946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94
1945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95
1944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96
1943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96
1942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97
1941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